전체 글 34

5-1. AWS ElastiCache (AWS Certified Developer Associate)

1. Amazon ElastiCache Overview - RDS와 동일한 방식으로 관계형 DB를 관리할 수 있다. - Redis와 Memcached와 같은 캐시 기술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 캐시란?? 높은 성능과 낮은 지연 시간을 가진 인-메모리 DB이다. - 읽기 집약적인 워크로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그 이유는 App의 상태를 일래스틱 캐시에 저장해 일반적인 쿼리문을 캐시에서 쿼리 결과를 검색할 수 있해주므로 DB에 읽기 부하를 줄일 수 있다. -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몇가지 어려운 코드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 단순 활성화가 아닌 캐시를 사용한다, 2. 일래스틱 캐시 사용을 위한 아키텍처 2-1.일래스틱 캐시와 RDS 그리고 App이 있고 App은 일래스틱 캐시를 쿼리한다고 가정하자..

udamy/AWS Devleoper 2023.02.16

5-1. AWS Aurora (AWS Certified Developer Associate)

1. Aurora(오로라) 기술 - 오로라 DB에 호환 드라이버가 있어 Postgres와 MySQL과 호환이 된다. - 클라우드에 최적화되어있다. -> MySQL보다 5배, Postgres보다 3배 이상의 성능향상을 보여준다. - 오로라 스토리지는 자동으로 늘어나며 10GB로 시작해 데이터를 추가하는 대로 64TB까지 늘어난다. 추가적으로 DB 혹이 CIS-ops로 디스크 모니터링을 할 필요 없이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늘어난다. - 읽기전용 복제본이 최대 15개까지 가질 수 있으며 속도 또한 빠르다. - 장애 조치도 즉각적이다 :: 기본적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블서 가용성이 높아서.. - 단 가격깅 RDS비용보다 20%정도 비싸다... *****중요***** 2.High Availability and Re..

udamy/AWS Devleoper 2023.02.09

5. AWS RDB 기초 (AWS Certified Developer Associate)

1. Relational Databasee Service(RDB)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며 SQL을 쿼리 언어로 사용하는 DB를 위한 관리형 DB이다. SQL은 DB Query를 위한 구조적 언어이면 적용이 용이해 많은 엔진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를 이용해 Cloud DB를 생성할 수 있고 AWS상에서 관리되어 여러 이점이 많다. AWS RDB의 유형으로는 PostgerSQL,MySQL,MariaDB,Oracle,Microsoft SQL Server,Aurora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2. 인스턴스 내에 자체 DB를 배포하지 않고 RDB를 사용하는 이유 - RDS는 관리형 서비스이다. - 해당 DB의 프로비저닝과 기본 OS 패치가 자동화되어있다. - 지속적인 백업이 수행되며 특정 타임스탬프도 복구가..

udamy/AWS Devleoper 2023.02.08

4-4. ELB들의 보충 개념 (AWS Certified Developer Associate)

1. Sticky Sessions(Session Affinity)고정 세션 or 밀접성 1-1. 설명 LB에서 2가지 요청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가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백엔드에 동일한 인스턴스를 갖는 것이다. 예를 들어 2개의 EC2와 3개의 클라이언트가 존재하고 이들은 ALB를 통해 통신을 한다고 가정하자. 만약 Client1이 EC2-1과 통신이 이뤄지면 Client1은 다음 요청 또한 동일한 EC2-1에게 요청하게 된다. Client2,3또한 처음 통신시 ALB에서 정해준 EC2와 고정적으로 통신하게 된다. - 원리 그렇다면 어떻게 이게 가능할까??는 "쿠키"를 통해 클라이언트에서 ALB로 요청의 일부로 정송하기 때문이다. "쿠키"는 고정성과 만료 기간 또한 존재한다. 만약 쿠키가 만료가 된다며 다..

udamy/AWS Devleoper 2023.02.07

4-3. NLB & GWLB 개념 (AWS Certified Developer Associate)

1. Network Load Balancer (v2) - TCP & UDP 기반의 트래픅을 인스턴스로 전달한다.( 4 계층 ) - 초당 수백만 건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고성능 이다) - NLB의 평균 지연시간은 초당 100ms 이다. ( ALB는 초당 400ms 이므로 NLB가 훨씬 좋네) - 외부의 가용 영역 당 1개의 고정 IP를 노출한다. 이는 특정 IP를 화이트리스트에 추가할떄 유용하다. - NLB 저체의 IP를 가져오는 대신 일래스틱 IP 할당을 지원하는데 이는 엔트리 포인트를 2개를 얻고자 할 때 NLB를 사용하면 된다는 것이다. (애플리케이션 전용의 특정 IP를 지정하면 NLB가 해당 트래픽을 EC2 인스턴스로 보내는것 ) 대표적인 사례는 고성능 TPC/UDP 수준의 트래픽을 원할 때 ..

udamy/AWS Devleoper 2023.02.07

4-2. ABL 개념 및 실습 (AWS Certified Developer Associate)

직전 회사에서 ABL을 구현한 경험이 있는 이번 기회를 통해 좀더 확실히 알아가려고 한다! 1. Application Load Balancer (v2) - HTTP 전용 로드벨런서(7계층) - 여러 machine과 멀티 HTTP 애플리케이션 라우팅에 주로 사용된다. (해당 machine은 target group으로 묶여서 사용되는데 실습을 통해 확인하자!) - 동일 인스턴스 상의 여러 애플리케이션 부하 분산 해준다. ( 컨테이너,ESC 등에 사용) - HTTP/2 와 WebSocket을 지원하며 리다이렉트를 지원해 HTTP/HTTPS로 트래픽을 자동 리다이렉트 하는 경우 LB level에서 가능하다는 의미! - target groups(경로 그룹)에 따른 라우팅 - URL path(URL 경로) targ..

udamy/AWS Devleoper 2023.02.06

4-1. CLB 개념 및 실습 (AWS Certified Developer Associate)

(원래 2타입씩 설명하려했는데 실습 사진이 많아서 하나씩 올릴려한다.. ㅠㅠ) 1. Classic 4. Load Balancer (CLB) V1 - TPC( 4계층 )나 트래픽 또는 HTTP,HTTPS( 7계층)를 지원한다. - Health checks는 TCP 또는 HTTP 기반으로 이뤄진다. - CLB로부터 고정 호스트명을 부여 받게된다. 1 CLB 실습 (연결할 EC2먼저 구성하고 다음을 수행 하세요) 1-1 CLB 생성 - EC2 dashboard에서 모록창에서 load balancers 페이로 이동 후 로드밸런서 생성 버튼 클릭 수 하단에 CLB를 클릭하면 아래 페이지로 이동한다. - 해당 페이지에서 CLB명과 부연설명을 작성하고 내부 LB로 만들어 개인용을 사용할지, 고급 VPC로 구성할지를 ..

udamy/AWS Devleoper 2023.02.06

4. Load Balancer (AWS Certified Developer Associate)

로드 밸런서에 대해 알아보자 1. Load Balancer 로들 벨런서는 서버 혹은 서버셋으로 트래픽을 백엔드나 다운스트림 EC2인스턴스 또는 서버들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2. 예시 아래 그림을 가지고 로드 밸런서가 어떻게 사용된는지 예시를 들어보면 설명해보자! 먼저 오른쪽 그림과 같이 3개의 인스턴스가 있고 인스턴스 앞에는 Elastic Load Balancer(ELB)라는 로드밸런서로 운영중인 서버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만약 유저1이 해당 서버를 접근하려 하면 ELB로 연결되고 ELB는 3개의 EC2중 하나로 연결 시켜 줄것이다. 또한 유저2,3도 해당 서버에 접근하려 하면 ELB로 연결되 ELB가 3개의 EC2중 하나의 인스턴스를 연결해준다. 이렇게 수많은 유저가 연결할 수록 EC2의 부하는 E..

udamy/AWS Devleoper 2023.02.06

3-3. EBS vs EFS(3)(AWS Certified Developer Associate)

이전 글을 통해 EBS와 EFS에 대해 학습해보았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는 EBS와 EFS를 비교하는 시간을 가져보자구! 1. EBS volumes (Elastic Block Storage) - 한번에하나의 인스턴스에만 연결이 가능하다. - 특정 가용 영역에 한정된다. - 핵심 유형 : gp2 --> gp2에서는 디스크 크기가 늘어나면 IO도 함께 증가한다. - io1은 IO를 볼룸 크기와 관계없이 독립적증가 시킬 수 있어 중요한 DB를 실행할 때 좋은 방법이다. - EBS를 다른 가용 영역으로 옯기고 싶다면 EBS Snapshot을 찍어 EBS를 복원시키고 원하는 가용 영역 또는 리전에 EBS볼륨을 생성해준다. - EBS Snapshot이나 백업을 만들 떄는 EBS 볼륨 내의 IO를 전부 사용하게 되..

udamy/AWS Devleoper 2023.02.05

3-3. EBS vs EFS(2)(AWS Certified Developer Associate)

1. Amazon EFS(Elastic File System)이란? - Maanaged NFS(Network file system)이기 때문에 여려 EC2 인스턴스에 마운트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큰 이점이다. 또 EC2인스턴스는 여러 가용 영역(AZ)에 있어 EBS의 단점인 확장성을 보안해주는 것이 EFS의 큰 이점이다. 하지만 EFS의 높은 가용성으로 비용이 gp2 EBS 볼륨에 약 3배정도 비쌈... (사용할 때 마다 비용을 지불 하기 떄문에 사전 프로비저닝 용량이 없음) EFS 파일 시스템을 보안 그룹으로 감싸고 여러 가용 영역의 EC2 인스턴스를 EFS를 통해 하나의 NFS에 동시에 연결해 사용한다. (아래 그림을 보며 전체적인 구성도를 알 수 있을듯) - 사용 사례 주로 콘텐츠 관리 웹 서비스 ..

udamy/AWS Devleoper 2023.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