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EBS vs EFS(3)(AWS Certified Developer Associate)
이전 글을 통해 EBS와 EFS에 대해 학습해보았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는 EBS와 EFS를 비교하는 시간을 가져보자구!
1. EBS volumes (Elastic Block Storage)
- 한번에하나의 인스턴스에만 연결이 가능하다.
- 특정 가용 영역에 한정된다.
- 핵심 유형 : gp2
--> gp2에서는 디스크 크기가 늘어나면 IO도 함께 증가한다.
- io1은 IO를 볼룸 크기와 관계없이 독립적증가 시킬 수 있어 중요한 DB를 실행할 때 좋은 방법이다.
- EBS를 다른 가용 영역으로 옯기고 싶다면 EBS Snapshot을 찍어 EBS를 복원시키고 원하는 가용 영역 또는 리전에 EBS볼륨을 생성해준다.
- EBS Snapshot이나 백업을 만들 떄는 EBS 볼륨 내의 IO를 전부 사용하게 되니 인스턴스가 EBS를 사용 중이 아닐 때에만 실행해야뎌(너무 춥워.. 2023.02.05..) 그렇지 않으면 성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EC2 인스턴스가 종료되면 루트 EBS 볼륨도 기본적으로 종료된다.(이는 인스턴스 생성때 비활성화 할 수 있어!)
2. EFS (Elastic File System)
- 여러 개의 가용 영역에 걸처 무수히 많은 인스턴스들에 연결될 수 있다.
- WordPress 같은 웹 사이트 파일을 공유할 때도 EFS를 쓴다.
- POSIX 파일 시스템이라 Window에선 구동되지 않기 떄문에 Linux 인스턴스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 EFS-IF라는 스토리지 영역을 사용하게되면 특정 수명 정책에 따른 주기로 파일을 관리할 수 있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3.부가설명
- EFS는 다수의 인스턴스에 걸쳐 연결해야 하는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에 적합하고, EBS는 네트워크 볼룸을 한 번에 하나의 인스턴스에 연결할 수 있고 특정 AZ 내로 한정된 인스턴스 사용시 좋음
- 인스턴스 스토어는 EC2 인스턴스에 IO를 최대로 사용하게금 해주지만, 인스턴스가 망가지면 함께 망가지는 임시 드라이브도 존재한다!